본문 바로가기

역사란 무엇인가? <E.H Carr> E.H(Edward Hallett)Carr(이하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는 1960년, 그의 여섯 차례 강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 사회와 개인, 역사, 과학, 그리고 도덕,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진보로서의 역사, 지평선의 확대이다. 카는 빅토리아 시대의 끝 무렵인 1892년 출생하여 그가 살아온 20세기 전반기에 제1차 세계대전과 제 2차 세계 대전을 비롯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한 수많은 사건들을 겪었다. 그러한 인류 역사상 가장 격동적인 시기를 살아온 증인이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서구의 엘리트 지식인들의 지배적인 경향과 그들이 잘못 든 길, 당시의 회의주의를 비판하며 미래에 대한 보다 건전하고 균형 잡힌 전망을 가지기 위해 노력해 왔다. 첫 번째 강연 역사가와 그의 .. 더보기
역사란 무엇인가? <E.H Carr> 5,6장 역사란 무엇인가? E.H Carr 발췌 ‘역사란 무엇인가’ 1.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 2. 사회와 개인 3. 역사, 과학, 그리고 도덕 4.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5. 진보로서의 역사 6. 지평선의 확대 5. 진보로서의 역사 역사는 지상에서의 인간 세계의 완성이라는 목적을 향해 진보하는 것으로 변했다. 액턴은 ‘역사를 진보적인 학문이라 불렀다. ’우리는 인간세계에서의 진보를 역사 서술의 근거가 될 과학적인 가설로 전제해야만 한다.‘ 하지만 지난 세기 진보라는 가설은 논박 당해 왔다. 진보라는 개념에 대해 Carr는, 1. 진보와 진화는 구분되어야 한다. 진화의 원천인 생물학적인 유전을 역사에서의 진보의 원천인 사회적인 획득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역사란 획득된 기술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승되는 것.. 더보기
역사란 무엇인가? <E.H Carr> 3,4장 역사란 무엇인가? E.H Carr 발췌 ‘역사란 무엇인가’ 1.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 2. 사회와 개인 3. 역사, 과학, 그리고 도덕 4.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5. 진보로서의 역사 6. 지평선의 확대 3. 역사, 과학, 그리고 도덕 제 3장 ‘역사, 과학 그리고 도덕’에서는 역사는 ‘과학(Science)’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물론 자연과학과들이 직면하는 어려움과는 다른 종류의 어려움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는 사회과학자, 역사가, 자연과학자의 목표와 방법이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점을 이야기 한다. 과학에서 '법칙'이라는 개념에 대해, 18세기와 19세기 과학자들은 자연에 관한 여러 법칙들이 발견되어 명확하게 확립되었다고 생각했다. 사회를 연구하는 사람들도 똑같은 용어를 사용했다... 더보기